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방세 과세증명서 발급방법 - 핵심만 간단히

by Ttwitter 2021. 8. 1.

지방세 과세증명서는 지방에 거주하는 국민에게 부과된 지방세를 제대로 납부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양식이다. 세목별로 납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의 발급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네이버 검색창에 '정부24'라고 검색해서 정부24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2. 정부24 홈페이지 중간 위에 검색창에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라고 입력하고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엔터키를 친다.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입력화면
지방세세목별과세증명서-입력화면

 

3. 검색결과에서 "세목별과세증명" 줄의 우측에 있는 [신청]을 클릭한다.

세목별과세증명-선택화면
세목별과세증명-선택화면

 

4. 정부24 회원이면 [회원신청하기]를 클릭한 후 인증서로 인증절차를 마친다. 정부24 회원이 아닌경우 [비회원신청하기]를 클릭한 후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는 등의 절차를 마친다.

 

5.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 화면에서 [세목별과세증명]이 선택되어 흰색박스로 나온다. 조금 밑으로 내려가서 신청내용 입력박스에서 [과세물건지 주소선택] 에서 [주소검색]을 클릭한 후 과세물건지 주소를 입력하고, 사용목적을 입력한다. 

과세물건지주소-입력화면
과세물건지주소-입력화면

 

6.영업장 입력박스에서 [상호]가 있으면 입력하고, [영업종목]을 입력하기 위해 [검색]을 클릭하여 영업종목을 한 단계씩 하위 구분으로 선택해가면서 선택한다. (아래 그림은 부동산임대업을 선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영업종목-선택화면
영업종목-선택화면

 

7.영업장소 입력하는 칸의 우측에 [주소검색]을 클릭하고 영업장 주소를 입력한다.

영업장-입력화면
영업장-입력화면

 

8. 수령방법 입력박스에서 수령방법과 수령기관을 선택하고 맨 아래의 [민원신청하기]를 클릭한다. [수령방법]이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인 경우 [수령기관 선택]은 선택할 수 없도록 되어있다. 

수령방법-선택화면
수령방법-선택화면

 

9. 그러면 과세목록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출력할 과세대상을 선택하고 맨 아래의 [확인]을 클릭한다. 

출력할-과세대상-선택화면
출력할-과세대상-선택화면

 

10. 서비스신청내역에서 [문서출력]를 선택한다. 

서비스신청내역-화면
서비스신청내역-화면

 

11.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 출력화면 맨 위의 오른쪽에 있는 [인쇄]를 클릭해서 출력한다.

 

지방세과세증명서-출력화면
지방세과세증명서-출력화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