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9

상가임대사업자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방법(임대료만 받는 경우, 초간단) 상가를 임대하면서 임대료만 받고 있는 경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방법은 의외로 아주 간단하다.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단계별로 진행하면서 '저장하고 다음으로 이동한다'는 메시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로그인한다. 2. 화면 맨 위의 중앙에 있는 [사업장 선택]을 클릭한다. 3. 부가가치세 확정 신고할 상가의 사업자번호를 선택하고, [사업자로 변경하기]를 클릭한다. 4. '[확인] 버튼을 클릭하시면, 선택한 사업장으로 전환됩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확인]을 클릭한다. 5. [신고서 작성하기]를 클릭한다. 6. [정기신고]를 클릭한다. 7. 기본정보 입력화면에서 [확인]을 클릭한다. 그러면 임대사업자의 등록정보가 나타난다. 전화번호, 휴대폰 번호, 전자우편주소 등 변경.. 2022. 1. 25.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인터넷 발급방법 은행이나 정부 관공서에 제출하는 필수 서류 중에 하나인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를 인터넷으로 무료로 발급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한다.(https://www.gov.kr) 2. 검색어 입력화면에 '건강보험'이라고 입력한 다음 아래에 나타나는 양식 이름 중에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클릭한다. 3. 화면 맨 아래에 [발급하기]를 클릭한다. 4. 이미 정부 24의 회원이면 [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해서 로그인하고, 회원이 아니면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한 후 본인 확인 절차를 진행한다. 5. [건강보험 자격득실 조회] 박스 아래쪽에 있는 수령방법 선택에서 [프린터 출력]을 선택한다. 6. 맨 아래에 있는 [민원 신청하기]를 클릭한다. 7. [서비스 신청내역] 화면에서 [문.. 2021. 12. 7.
코로나19 예방접종확인서 인터넷 발급방법 코로나19로 인해 예방접종이 권장되면서 각종 관공서 등의 제출서류에서도 코로나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하는 곳이 많아졌다. 인터넷으로 간편하게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정부 24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2. 화면 가운데에 있는 검색 박스에 '코로나'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친다. 3. 화면 중간 아래쯤에 있는 [예방접종 증명] 우측의 [신청]을 클릭한다. 4. 정부 24의 회원이면 [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해서 로그인을 하고, 정부 24의 회원이 아니면 [비회원 신청하기]를 클릭해서 본인 확인을 진행한다. 5. 예방접종 증명 화면이 나타나면 신청인, 교부 대상자를 확인한다. 신청내용 박스에서 접종 구분에는 [개별 선택]을 선택하고, 국가 예방접종에서는 [(임시 예방접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 2021. 12. 6.
건축물대장 발급 방법(인터넷 출력방법) 건축물대장을 발급하는 방법입니다. 건축물의 평면도가 필요한 경우에는 건축물 소유자의 동의를 얻어야 발급할 수 있습니다. 1. 네이버 검색창에 '정부 24'라고 입력해서 접속한 다음 로그인한다. 2. 정부 24 첫 화면의 검색창에 '건축물대장'이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친다. 3. 신청서비스 목록에서 [건축물대장(발급)] 줄의 맨 우측에 있는 [신청]을 클릭한다. 4. 건축물대장(발급)을 클릭한다. 5. 신청내용 입력박스에 건축물의 소재지, 대장 구분, 대장 종류, 건물 명칭을 검색 입력한다. 6. 수령방법 입력박스에서 [온라인(본인 출력]을 선택하고 [민원 신청하기]를 클릭한다. 7. [서비스 신청내역] 목록에서 [문서 출력]을 선택한 후 출력한다. 2021. 9. 23.
정부24에서 토지, 임야대장을 인터넷으로 발급 방법 토지 또는 임야의 소재지, 지번, 면적, 지목, 소유권 등을 등재사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토지대장, 임야대장, 경계점좌표등록원부를 발급받아야 한다. 정부24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정부24 사이트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정부24 홈페이지로 바로가기) 2. 화면 중간의 검색창에 '토지대장' 또는 '임야대장'이라고 입력하고 엔터키를 친다. 3. 검색결과에서 [토지(임야)대장 등본교부] 우측의 [신청]을 클릭한다. 4. [토지(임야)대장 등본교부]를 클릭한다. 5. 밑으로 내려가서 신청내용 입력사항에 다음 내용들을 입력한다. 출력할 대장(토지, 임야), 토지나 임야의 소재지 연혁인쇄 여부, 폐쇄대장 구분, 소유자 표시, 공시지가, 소유자 주민번호 6. 수령방법 입력사항을 선택한다... 2021. 9. 8.
건축물 대장 인터넷 열람 방법 부동산 거래에 필수 서류로써 건물의 구조와 용도, 활용 업종을 파악하는데 매우 중요한 서류이다. 인터넷 열람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정부 24"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2. [로그인]한다. 3. 정부24 홈페이지 검색창에 "건축물대장 열람"이라고 입력하고 우측의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한다. 4. 검색결과에서 건축물대장(열람) 설명의 우측에 있는 [신청]을 클릭한다. 5. 건축물대장 등초본 발급(열람) 신청 화면에서 [건축물대장(열람)을 클릭한다. 6. 아래로 내려가서 신청내용 입력 박스에는 건축물 소재지를 검색하여 입력하고, 다음과 같이 체크한다. 단독주택인 경우 : 대장 구분에는 [일반] 선택, 대장 종류에는 [총괄] 선택 아파트, 연립주택인 경우 : 대장 구분에는 [집합] 선택, 대장 종류에는 [총.. 2021. 8. 9.
건축물대장 인터넷 발급방법 부동산을 거래할 때 꼭 확인해야 할 서류 중에 한 가지로 건물이 어떤 구조로 건축된 건지, 어떤 업종으로 사업을 해야 하는지 등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서류이다. 발급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네이버 검색창에서 "정부 24" 홈페이지를 검색해 이동한다. 2. 맨 위 가운데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한 후 로그인한다. 3. 정부 24 홈페이지 중앙의 검색창에 "건축물대장 발급"이라고 입력하고 오른쪽의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한다. 4. 검색결과에서 건축물대장(발급) 설명의 우측에 있는 [신청]을 클릭한다. 5. 건축물대장 등초본 발급(열람) 신청 화면에서 [건축물대장(발급)을 클릭한다. 열람만 하고 싶으면 우측의 건축물대장(열람)을 클릭한다. 6. 신청내용 입력 박스에는 다음과 같이 체크한다. 단독주택인 경우 : .. 2021. 8. 9.
지방세 과세증명서 발급방법 - 핵심만 간단히 지방세 과세증명서는 지방에 거주하는 국민에게 부과된 지방세를 제대로 납부했는지 확인하기 위한 양식이다. 세목별로 납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의 발급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네이버 검색창에 '정부24'라고 검색해서 정부24 홈페이지로 이동한다. 2. 정부24 홈페이지 중간 위에 검색창에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라고 입력하고 돋보기 아이콘을 클릭하거나 엔터키를 친다. 3. 검색결과에서 "세목별과세증명" 줄의 우측에 있는 [신청]을 클릭한다. 4. 정부24 회원이면 [회원신청하기]를 클릭한 후 인증서로 인증절차를 마친다. 정부24 회원이 아닌경우 [비회원신청하기]를 클릭한 후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는 등의 절차를 마친다. 5.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 화면에서 [세목별과세증명]이.. 2021. 8. 1.